..
강의 노트 - 악성코드, 해시
Ch 1. 기초 정적분석 기법
2024-03-14(목)
| 보안위협탐지및분석
1.1 악성코드 분석이란?
- 악성코드 : 컴퓨터에 해를 끼치는 모든 코드
- 바이러스, 트로이 목마, 웜 (…)
- 화이트 개념 : 진단 코드 (목적에 따라 나쁘지 않은 경우도 있음)
- 악성코드 분석 목표
- 네트워크 침입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함
- 무슨 일이 정확히 발생했는지, 감염된 시스템과 파일이 무엇인지 확실히 인지하기
- 의심스러운 특정 바이너리가 하는 행위와 피해 범위를 측정
- 호스트 측면과 네트워크 측면으로 나뉘어 탐지
- 호스트 측면: 악성코드 자체 특성이 아닌 시스템에 가한 행위 초점
- 네트워크 측면: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을 통해 악성코드 탐지
- 악성코드 분석 기법
- 기초 정적 분석: 실제 명령어를 보지 않고 파일 자체를 조사, 파일의 악성 여부 확인
- 기초 동적 분석: 악성코드 실행 후 감염 흔적 등의 시스템 행위 관찰
- 고급 정적 분석: 프로그램 명령어가 하는 작업을 파악, 디스어셈블리기능 요구 (기계어 → 어셈블리어)
- 고급 동적 분석: 디버거를 이용해 악성 실행 파일 내부 상태를 점검
1.1.1 악성 코드의 유형
악성 코드를 분석 시 악성코드에 대한 선행 지식이 필요 → 행위 추측, 가설 확인
1) 백도어 (backdoor)
- 본래 유지보수 용도로 사용함
- 공격자의 접근 허용
- 컴퓨터에 자기 자신 설치
- 공격자는 별도 인증 필요 없이 컴퓨터에 접속하여 명령어 실행이 가능함
2) 봇넷 (botnet)
- 공격자가 시스템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백도어와 유사
- 동일한 봇넷에 감염된 모든 컴퓨터가 하나의 명령제어 서버
C&C
,Command-and-Control
로부터 동일한 명령어를 수신하여 공격
3) 다운로더 (downloader)
-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하는 악성코드
- 공격자는 접근 권한을 얻어 다운로더를 설치 / 또는 사용자가 직접 다운로더를 설치하게 유도
- 다운로더 프로그램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설치
4) 정보 유출 악성코드(information-stealing malware)
- 피해자 컴퓨터에서 정보 수집하고 공격자에게 전송
- 이메일, 온라인 뱅킹 접근 권한 얻고자 할 때 사용 - 예) 스니퍼, 패스워드 해시 수집기, 키로거
5) 실행기(launcher)
- 다른 악성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
6) 루트킷(rootkit)
- 다른 코드 내에서 자신의 존재를 숨기도록 설계한 악성코드
- 본래 의미: 은폐와 은닉을 위한 컴퓨터 기술
- 백도어와 같은 다른 악성코드를 함께 사용
- 공격자의 원격 접속 허용
- 코드 탐지 어려움
7) 스케어 웨어(scare ware)
- 감염된 사용자에게 겁을 줘서 구매를 유도
악성코드에 감염 되었으니, 우리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여 치료하세요.
- 실제 구매하면 scare ware만 삭제됨
- 안티바이러스나 다른 보안프로그램으로 가장
8) 스팸 전송 악성코드(spam-sending malware)
- 사용자의 장비 감염시켜 스팸을 전송
- 스팸 전송 서비스를 판매하여 악성코드 수익을 얻음
9) 웜/바이러스(worm/virus)
- 자기 자신을 복제해 추가로 컴퓨터 감염
- 웜: 네트워크에서 연속적인 복사 기능 수행
1.2 악성코드 분석의 일반 규칙
- 세부사항에 집착하지 말자
- 작업할 때 여러가지 도구와 접근 방식이 있음을 기억하자
- ‘고양이와 쥐’ 게임처럼 새로운 악성코드 분석 기법이 생기면 공격자에 의해 회피기법도 생김. 기법을 인지하고 이해하여 활용하자
1.3 안티바이러스 스캐닝
- 이미 알려진 여러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을 통해 악성코드를 분석하는 것이 좋지만, 안티바이러스 도구들이 완벽하지만은 않다.
안티바이러스 도구는 의심 파일을 찾기 위해 의심파일 시그니처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, 행위 및 패턴 매칭 분석에 주로 의존한다.
1. 공격자가 코드를 쉽게 변조함으로써 시그니처 우회
2. 대중적이지 않은 바이러스는 시그니처에 미포함 되므로 탐지 불가능
3. 새롭고 독특한 악성코드로 휴리스틱 기법 우회
휴리스틱 기법: 휴리스틱(heuristics) 또는 발견법(發見法)이란 불충분한 시간이나 정보로 인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없거나, 체계적이면서 합리적인 판단이 굳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람들이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보다 용이하게 구성된 간편추론의 방법이다.
바이러스토탈
- 웹사이트 기반 여러 안티바이러스 스캐닝
- URL : https://www.virustotal.com/gui/home/upload
2. 해시
- 파일의 무결성 점검하기 위해 사용
-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임의의 길이를 갖는 임의의 데이터에 의해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된 값
2.1 파일의 진위
- 파일 전체를 안전한 장소에 보존해두고 나중에 비교하는 방법과 파일을 비교하는 대신 해시 값을 비교하는 방법이 있음
2.2 일방향 해시 함수(one-way hash function)
- 일방향 해시 함수는 입력과 출력이 각각 1개씩 있음
- 입력: 메시지
message
- 출력: 해시 값
hash value
2.2.1 해시 함수의 입력
- 입력: 메시지
- 메시지는 인간이 읽을 수 있는 문서일 필요가 없음
- 메시지가 실제로 무엇을 나타내고 있는지 알 필요 없음
- 어떤 메시지든 단지 비트열로서만 취급함, 그 비트 열을 기초로 해시 값 계산
2.2.2 해시 함수의 출력
- 해시 값의 길이는 메시지의 길이와 관계 없음
- 메시지가 몇 비트, 바이트, 기가 바이트라도 일방향 해시 함수는 고정된 길이의 해시 값을 출력함
- 예) SHA-1이라는 일방향 해시 함수의 해시 값은 항상 160bit
2.2.3 일방향 해시 함수의 성질
- 임의의 길이 메시지로부터 고정 길이 해시 값 계산
- 고속으로 계산 가능
- 메시지가 다르면 해시 값도 다름
- 일방향성
2.2.4 충돌 내성
- 충돌을 발견하기 어려운 성질
- 일방향 해시 함수는 충돌 내성이 필요함
2.2.5 일방향 해시 함수의 일방향성
- 메시지로 부터 해시값을 계산하지만, 해시 값으로는 메시지를 계산해낼 수 없음
용어
- 일방향 해시 함수는 아래와 같이도 불림
- 메시지 다이제스트 함수
- 메시지 요약 함수
- 암호적 해시 함수
- 일방향 해시 함수의 입력 메시지를 프리-이미지
pre-image
라고도 함
실습코드
package project0314;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io.UnsupportedEncodingException;
import java.security.*;
public class Hash_256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NoSuchAlgorithmException, UnsupportedEncodingException{
String message = "Baewha Hash";
System.out.println(message);
MessageDigest mdSHA245 = MessageDigest.getInstance("SHA-256");
mdSHA245.update(message.getBytes("UTF-8"));
byte[] result_HashValue = mdSHA245.digest();
StringBuilder HashValueTo16 = new StringBuilder();
for(int idx = 0; idx < result_HashValue.length; idx++) {
String hexString = String.format("%02x", result_HashValue[idx]);
HashValueTo16.append(hexString);
}
System.out.println(HashValueTo16);
}
}
Baewha Hash
부분에 다른 문자열을 넣을 때마다 동일한 길이의 중복되지 않는 다른 hash값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.